뽀에지야

상징

달그리매 2006. 7. 18. 13:38

 비평용어 / 상징

 

 

 
1. <장미꽃>이란 낱말이 하나의 구체적 감각적 인상을 되살리는 데에서 그친다면 그것은 심상이고 이 장미꽃이라는 심상이 정열 또는 쉽게 사라지는 사람의 아름다움 등의 뜻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면 상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2. 인류의 생활과 역사를 같이한 사물들은 사람이 자연스럽게 반응을 보이는 심상일뿐만 아니라 사람의 생활 체험의 어떤 면을 환기시키는 상징 노릇도 쉽게 한다.
3. 문인들은 제도적 상징 알레고리 상징 자연적 상징들을 많이 사용하지만 또한 개인적인 상징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개인적 상징을 만들어 내는 경향은 현대에 가까이 올수록 강하여지는 듯하다.
개인적 상징은 사람들이 다 알고 있거나 짐작할 수 있는 뜻에 기초를 두지 않고 어떤 구체적 심상을 제시하고 그것으로 하여금 지금까지 다른 사람들이 의도하지 않았던 추상적인 E뜻을 암시하게끔 만들어 놓은 것이다.
4.문인들은 자연적 상징이라도 그냥 그 보편성에 의존하지 않고 반드시 개인적 의미를 다시 살린다.
5.그러나 상징은 문학의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작품속에서 그 기능을 발휘하도록 쓰였을 때에만 상징의 구실을 한다. 자연적 상징을 문인이 스스로 재해석하여 사용한다는 말을 위에서 하였거니와 일체의 상징은 저절로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상징 노릇을 할수 있도록 전체가 짜여져야 한다.
문학 운동의 하나였던 상징주의는 상징의 암시성을 극단적으로 추구하여 일체의 산문적 의미 사실성 상식성을 배제하려 하였다.
암시성이 극단화되면 비논리 비 의미에 접근할 것이다. 이때의 상징은 실제로 아무 정신적 의미도 대표하지 않는다.